<p></p><br /><br />뇌졸중까지 앓았던 82세의 알제리 대통령이, 네 번도 모자라 다섯번째 대권에 도전하려다 결국 포기했습니다. <br> <br>국민들의 거센 반발에 무릎을 꿇은 것인데요. <br> <br>민주주의 불모지였던 중동과 아프리카에서도, 젊은 유권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동일 특파원의 더넓은 뉴스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알제리 수도 알제 중심가를 분노한 시위대가 가득 메웠습니다. <br> <br>현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다섯번째 대권 도전을 선언하자 민심이 폭발한 겁니다. <br> <br>[모하메드 / 학생] <br>"우리는 그들이 물러날 때까지 네 번째, 다섯 번째 시위를 이어갈 것입니다. 우리는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." <br> <br>20년 전 60대 초반에 처음 대권을 잡은 부테플리카는, 82세가 된 지금까지도 알제리의 대통령입니다. <br><br>최근엔 뇌졸중 때문에 휠체어가 없으면 움직일 수도 없을 만큼 병약해진 상황. <br> <br>결국 성난 민심에 무릎을 꿇었습니다. <br> <br>알제리 국민들은 거리로 나와 국기를 흔들며 환영했습니다. <br> <br>[알제리 시위대] <br>"이것이 우리 알제리인들이 성공할 수 있는 첫 걸음입니다.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5선 도전을 막았습니다. " <br> <br>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지도자들 때문에 여론이 들끓는 곳은 알제리 뿐만이 아닙니다.<br> <br>아랍의 봄 진원지이자 유일하게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튀니지에서는 92세의 에셉시 대통령이 지난달 연임 의사를 밝혔고, 나이지리아에서는 76세의 무함마두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자, 젊은 유권자들이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파룩 이브라힘 / 활동가] <br>"정치를 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은 젊은 청년들이 나와서 함께 참여하는 것입니다." <br> <br>게다가대안이 되어야 할 야권은 극도로 분열돼 있어 정권 교체는 당분간 요원해 보입니다. <br><br>"이들 국가 대부분 높은 실업률과 경제난에 허덕이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습니다. 변화와 개혁을 원하는 젊은 아프리카 유권자들의 목소리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. 카이로에서 채널A 뉴스 서동일입니다."